
일하면서 얻은 내 소득이 어느 수준인지 궁금한 적 없으셨나요? 정확한 순위는 아니더라도 대략 어느 정도인 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올해 '기준 중위소득'만 안다면 내 소득과 비교해서 높고 낮음을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우리나라 전국민을 소득 순으로 정렬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중위소득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가구 인원별 월 소득액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만약 4인 가구에 소득이 400만 원이면 위 기준 중위소득은 480만 원 정도이므로 수준이 중간보다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출처 기준 중위소득은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법령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고차 매매 사이트의 두 강자, 엔카와 K카에서 내차 팔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 차를 중고로 팔 때, 두 사이트에서 어떻게 하는 지를 확인해 볼게요. 행여 내 차를 진짜로 팔아야 할 때, 어느 사이트에 맡길지 판단해 볼 수 있겠네요. K 카(K Car) 먼저 K카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K카는 총 4단계로 중고차 팔기가 진행됩니다. 상담→평가→결정→판매 순입니다. K카 상담원과 전화로 개략적인 안내를 받아본 후, 차량평가사가 고객이 있는 곳으로 직접 방문을 하네요. 바쁜 사람들을 위해서 편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더군다나 차량진단, 견적을 위해서 어떤 수수료도 요구를 하지 않는다고 하니 믿음이 가네요. 차량평가사에 의해 산출된 견적으로 내 차 중고 가격이 적정한지 결정하면 됩니다...

주식 거래를 하면서 어느 한 종목의 과거 데이터가 필요한 적 없으셨나요? 과거 특정 시점에서 최고가가 얼마였는지, 고가가 형성되었던 기간이 어느 정도였는지 등 기술적 분석을 위해 기존의 주가 데이터를 찾게 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과거 주가 데이터를 찾는 방법을 소개드리겠습니다. ※ 증권사가 제공하는 차트(HTS)를 보는 방법은 아닙니다. 1. 네이버, 구글 과거 주가 데이터를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포털(네이버 혹은 다음)이나 구글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위해 종목은 우리나라 시총 1위인 삼성전자로 하겠습니다. 각각 과거 주가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네이버 네이버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검색창 아래에 '증권'이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여기를 선택해서 들어갑니다. 검색창에서 찾고자 하는 주식 종목을 ..